투자론 36

GS홈쇼핑

매수 근거를 그때그때 적어놓지 않으면 매도 전략을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봐야 합니다. GS 홈쇼핑은 평단이 115,000원쯤 되는데 현재 133,200 원이니 15.9% 정도 수익이 나고 있는 상태이긴 한데, 매도 목표를 정하기 위해 기록을 해둡니다. GS 홈쇼핑은 김정환님이 실적 리뷰하면서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www.youtube.com/watch?v=Zip6a9tZoAQ&t=9m30s 그 외에도 몇 번 언급이 된 영상을 보았고, 리포트를 통해 현재의 멀티플이 실적 대비 과도하다는 확신을 가졌습니다. 현재의 배당 수익률이 5%를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았습니다. 지지와 저항이나 멀티플 등을 감안하면 최소 15만원, 장세에 따라 20만원 돌파도 가능한 상황이라고 ..

투자론/밸류 2020.09.22

더블유게임즈

게임은 흥행산업이어서 선호하지는 않습니다만, 이 섹터도 꼭 넣어야 할 것 같아서 살펴봤습니다. 먼저 네이버의 게임 테마에서 관련 종목을 찾아봅니다: finance.naver.com/sise/sise_group_detail.nhn?type=theme&no=42 게임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이 중 적자이거나, 게임이 본업이 아닌 회사 등 몇 가지 추가 조건을 이용해 필터링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PER 로 정렬하고 살펴보며 검토한 업체 의견입니다: 액토즈소프트 : 5년간 CAGR이 마이너스여서 제외 엠게임 : 저 PER이라는 이유로 매수했었는데 회사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니 주로 퍼블리싱 위주로 하고 있고 라인업이 그다지 매력..

투자론/밸류 2020.09.21

동아에스티

제약 바이오는 전공도 아니거니와 워낙 테마를 많이 타고 변동성이 커서 선뜻 손이 가는 섹터는 아닙니다만, 최소한 한두 종목은 보유해야 한다고 생각은 해왔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나 씨젠, 셀트리온에 올라타야 하는 것 같기는 한데 PER 100 을 넘나드는 현시점에 뛰어들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그래도 이 쪽 섹터에서 찾아보자는 생각을 갖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종목을 검색해 봤습니다: PER 는 25배 미만 제약 바이오 섹터 연구개발비 비중이 높은 종목 연구개발비 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동아에스티가 스물여섯 종목 중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지출하고 있고, PER 는 두번째로 낮으며 시가총액은 세번째로 높습니다. 주가는 10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했고, 지난 3년간 지루하게 횡보하고 있습니다. ..

투자론/밸류 2020.09.18

인선이엔티

최근 몇 주간 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를 하면서 간편식을 비롯해서 배달을 시켜먹을 일이 꽤 많았습니다. 그런데 1회용품으로 인한 쓰레기가 너무 많이 나오더군요. 석유화학 수요가 늘고 있다는 이야기도 이런 저의 경험과 일치합니다: https://youtu.be/CS97Sgk4hIc 그래서 이번에는 피터린치 식의 투자를 해보기로 하고 폐기물 업체를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사실 폐기물 산업은 주식농부 박영옥님을 비롯해 여러 가치 투자자가 성공사례로 들만큼 가치주 중에서는 적지 않은 섹터입니다. 따라서 PER도 10 정도로 가치주 치고는 높은(?) 수준입니다. 차트상으로도 정배열되어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향을 슈퍼개미 이정윤님의 정의에 적용해보면 폐기물 처리 기업은 성장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멀티플..

투자론/밸류 2020.09.15

카카오게임즈

카카오 게임즈 청약을 해서 약간 들고는 있는데, 지난 주에 '따따상' 을 갔습니다. 김정환님은 이틀째 시초가에 던지라고 하셨고: youtu.be/3wcEWSuT4tQ 염승환님은 비싸지만 지금 장세에서는 두고볼 만하다고 하십니다: www.youtube.com/watch?v=-3bwTD_M_xc&t=3m5s SK바이오팜은 4일차에 단기 고점을 찍었었고, 현재 PER가 100배 가까이 될텐데, 타 게임도 예전에 200배 정도 오른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0/09/10/SMJOE4B5LNGETESVNHDTYKSC2A/ 무난하게 ‘따상’ 카카오게임즈...얼마나 더 오를까 www.chosun.com 확률적으로 단기 고점은 다음주 화요일에 구경할..

투자론/이벤트 2020.09.13

롯데푸드

최근 롯데그룹은 큰 할인을 받고 있습니다. 롯데지주 이하 롯데하이마트,롯데쇼핑,롯데칠성 등 거의 전 그룹사가 큰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는 롯데리츠도 이런 측면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롯데푸드 역시 마찬가지로 하락을 거듭해서 거의 10년 전 주가 수준으로 내려왔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주당 순이익 역시 10년 전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품 라인업을 보면 급격히 성장하는 가정 간편식조차 브랜드가 생경합니다. 대체육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는 것 같지만 제가 먹어본 느낌은 '아직 때가 아니다'는 것이었습니다. 비건이 아니라면 이런 심심한 맛을 굳이 찾아먹을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최근 런칭한 식품 구독 서비스도 한번 이용해 보려는데 롯데푸드몰을 당최 찾을 수가 없습니다. 기사에..

투자론/이벤트 2020.09.10

삼성화재우

"사서 놔두면 나중에 연말 배당도 받고 또 시세차익도 먹겠지만 지금 사놓으면 속터집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iGyX3-v5nw&t=1h18m30s 최근 삼성생명법으로 핫했던 삼성화재입니다. 삼성생명은 29조 (9.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삼성화재는 5조 (6.2%) 로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81508433753712 여당 '삼성생명법' 발의…고민깊은 삼성생명·삼성화재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 지분을 매각하느냐에 세간의 관심이 뜨겁다. 국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의 최대주주가 바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두 회사의 주가를 20% 넘게 끌 www.asiae.co.kr 법안..

투자론/이벤트 2020.08.23

롯데 리츠

리츠에 관심을 갖게된 건 작년 이맘때 신과함께에서 이에 대해 몇 번 다루면서부터 였습니다: youtu.be/iYhWsZGerFs 당시 이직을 알아보는 중이었기 때문에 미처 신경쓰지 못하다 청약을 하지는 못했었고, 불현듯 생각이 났을 때에는 이미 상당히 가격이 상승해서 배당 수익률이 3%가 채 안되는 시점이었습니다. 그렇게 잊고 있다가 최근 신한 알파 리츠가 6000원 중반, 롯데 리츠가 5000원 초반으로 가격이 충분히 하락해서 조금씩 사모으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올웨더 포트에서 단기채를 모두 팔고 그만큼을 롯데 리츠로 갈아탔습니다. 롯데 리츠는 6%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고 현 시점에서는 상방으로 열려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단기채를 대체할 수 있는 자산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신한 알파 리츠가 ..

투자론/밸류 2020.08.12

상승률 TOP 10 테마 구하기

다음 금융의 테마별 토픽에서는 테마별 1일/1주/1개월/3개월 상승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m.finance.daum.net/domestic/sectors/theme 다음 금융 m.finance.daum.net 최근 이를 이용해서 TOP 10 테마를 뽑고, 테마별 Top Pick 은 테마 내 종목을 직접 살펴보는 식의 하이브리드한 방법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있습니다. 테마주라는게 모멘텀으로 먹고사는 건데 최근의 시장 모멘텀이 너무 강해서 수익률은 잘 나오고 있습니다. 어쨌든 다음 테마별 토픽에 접근해서 기간별로 전체 수익률을 뽑을 수 있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import requests import pandas as pd def __fetch(page=1, srt='1_WE..

투자론/퀀트 2020.08.09

KG케미칼 매도

한달 반 전에 매수했던 KG케미칼을 정리했습니다: https://quant42.tistory.com/10 KG 케미칼 KG 케미칼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KG동부제철의 코스피 200 편입 기사였습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52816175135099 KG동부제철, 코스피 200 편입 KG동부제철이 코스피 200 종목으로 신규 지.. quant42.tistory.com 여전히 저평가라고 생각하고는 있지만, 기업에 대해 감이 별로 오지 않았습니다. 제가 지주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기업 그 자체로 분석이 어려운 면이 많이 있다는 점인데, KG케미칼도 예외는 아닌 것 같습니다. 재무재표를 연결-개별 어느 쪽으로 보건 주가와의 상관성을 찾기 어렵고 변동폭이..

투자론/밸류 202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