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고수가 주식 좀 추천해 달라는 지인의 부탁을 거절하는 이유로, 매도 시점을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대답하곤 합니다.
그렇다면 퀀트는, 매수 매도 시점도 알아서 알려주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없는 것일까요?
이에 대한 좋은 대답을 몸소 체험하고 있습니다.
1. 지난 3월부터 돌리고 있는 크립토 전략의 백테스트 결과 입니다:

MDD 40% 라는 수치가 엄청나 보이지만 비트코인 MDD 보다도 낮은 수치인데다, 연수익률 3000% 가 넘습니다.
2. 이 백테스트를 지난 1년 정도 구간으로 바꿔 보았습니다:

여전히 수익권이지만 CAGR 은 35% 로 100분의 1로 쪼그라들었습니다.
3. 실제 전략을 돌리기 시작한 지난 두달 간의 백테스트 결과입니다:

손실이 발생했을 뿐더러 벤치마크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퀀트가 매수, 매도 시점을 알려주더라도 손실이 발생하면 해당 전략을 지속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게 됩니다. 결국 퀀트 투자도 모멘텀이나 가치투자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전략에 대한 믿음과 신념을 시험받는 구간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자신만의 경험이나 관점이 녹아있지 않고 블랙박스 형태로 받은 전략은 믿음을 유지하기 어려운 게 당연합니다.
따라서 퀀트 투자에 있어서도 전략은 직접 짜야 합니다. 누군가 놀라운 전략을 전수해 주더라도, 그것을 장기간 지속하기 위해서는 그렇습니다.
'투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의 종류 (2) | 2022.02.20 |
---|---|
모멘텀과 평균회귀 (0) | 2022.02.19 |
자산, 수익률, 레버리지 (0) | 2021.08.22 |
투자금액 운용 전략 rev. 1 (0) | 2020.12.31 |
작금의 투자관 (0) | 2020.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