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에이치알
얼마전 아내가 두 군데 정도 경력자 면접을 보았는데요, 코로나 때문에 모두 비대면으로 면접을 진행했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비대면으로 직장을 구하는 경향은 심화되리라 생각하고 온라인 취업과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을 찾아보았습니다.
네이버 증권 테마 검색을 해보면 온라인 취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커리어넷을 운영하는 에스코넥과 사람인을 운영하는 사람인에이치알 두 군데 밖에 없습니다.
finance.naver.com/sise/sise_group_detail.nhn?type=theme&no=324
일자리(취업)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개인적으로 이직을 고려할 때 찾아보는 서비스로 링크드인, 원티드, 리멤버 커리어, 인크루트, 잡플래닛 등이 있는데,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트렌드를 검색해본 결과, 사람인과 잡코리아만 보면 되겠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그밖에 많은 정보를 얻지는 못했지만, 사람인이 적어도 취업 테마를 이끌어가는 대장주임을 알 수는 있었습니다:
www.brandbrief.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84
"구인·구직 플랫폼, 순방문자 1위는 사람인"… 인크로스, 이용 현황 데이터 발표 - Brand Brief - 브��
최근 1년 간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한 구인·구직 플랫폼은 '사람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광고 전문기업 인크로스는 25일 '4월 미디어 데이터 클리핑' 보고서를 통해 ...
www.brandbrief.co.kr
올해는 코로나 때문에 채용 시장이 부진하다보니 어쩔 수 없는 실적 감소가 나타날 수 밖에 없지만, 사람인은 큰 부침 없이 꾸준히 성장해온 서비스입니다:
재무제표를 보더라도, 20% 안팎의 ROE, 20% 미만의 부채 비율, 2000% 에 달하는 유보율 등 기본은 확실하게 하는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목표가는 다음과 같이 잡았습니다:
finbox per 11.7 , target per 17
naver per 12.42
target per = 12.42 * 17 / 11.7 = 18.04
22400 * 18.04 / 12.04 = 33,500 원
여기서 finbox target per 17 은 5년간 per 에서 outliner 를 제외하고 평균을 구했습니다:
이 가격을 구경하려면 전고점을 돌파해야 겠군요.